본문 바로가기

끄적끄적/새로운 시대를 위해

협동조합 종사자의 역량과 학습을 위한 소고_01

HRD관점에서 바라본 협동조합의 역량과 학습

0. 이것은 서문이다.

책이 될 수도 있고, 논문이 될 수도 있고, 그저 그런 에세이가 될 수도 있는 글을 쓰려고 한다. 

성공회대 협동조합 MBA에서 사회적경제를 위한 경영학을 공부하게 되면서 읽었던 수많은 논문과 책들, 그리고 교수님과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나눴던 토론과 고민을 담고자 한다.

 

I. 서론

 Toffler는 그의 저서 Powershift(1992)에서 “21세기 문맹자는 읽고 쓰지 못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라 새로 배우지 못하고, 낡은 지식을 버리지 못하고, 재학습을 할 수 없는(cannot learn, cannot unlearn, cannot relearn) 사람이 될 것이다”라고 표현하면서 지속적인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즉, 평생학습은 개인과 조직의 역량을 향상할 수 있으며 21세기의 역동적인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매장의 점장으로 근무했던 10여년간 본인이 갖고 있는 역량의 대부분은 학부에서 배웠던 행정학의 지식과 대학시절 동아리, 학생회로 익혔던 조직생활, 공군작전병으로 근무하면서 습득했던 전산, 사무 지식들의 적절한 융합이었다고 할 수 있다. 마케팅, 조직 및 인사 등의 경영학과 행정학의 사회과학 역량, 워드와 컴퓨터 활용 능력의 전산 역량, 협동과 배려를 기본으로 한 팀업무역량과 자기주도의 업무수행 역량 정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느꼈던 한계와 문제의식은 경영과 마케팅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의 정립과 더 높은 단계의 배움의 단계를 꿈꾸게 했다. 그래서 대학원에 진학하고 수학하며 지적인 ‘내공’을 더 쌓고 싶다는 욕구가 더 강해졌다. 그러던 중 특히 2022년 1월 진행된 ‘대학공동 사회혁신 신진연구자 컨퍼런스’에 참여하여 석사, 박사 연구자들의 발표들을 보면서 감동과 지적인 경쟁심을 동시에 느끼게 되었다. Houle(1961)가 주창한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중 새로운 지식의 습득을 주 목적으로 하는 학습지향의 동기가 주(主)가 되고 부족한 역량의 재정비를 목적으로 하는 목표지향의 동기가 부(副)가 되는 사유로 특정한다. 이에 2022년 가을학기로 성공회대 사회적경제대학원 협동조합 MBA과정을 시작하게되었다. 

 현재 성공회대 사회적경제대학원의 협동조합 MBA과정은 협동조합을 실제로 경영하는 종사자(실무자,활동가)를 양성하는 과정이다. 당 대학원 홈페이지에 ‘협동조합 MBA 전공은 협동조합의 실무자와 활동가의 역량을 개발, 증진하여 우리나라 협동조합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며 협동조합의 인적결사체와 사업체로서의 이중성을 균형있게 이해하는 실무자 및 현장중심의 교육으로 실제 협동조합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무자를 양성하고자 합니다’라고 소개되어 있다. 경영학을 기본으로 정규교과과정은 일반조직경영 파트에 경영학개론, MIS, 조직인사, 회계, 마케팅, 재무투자, 생산관리, 경영전략 과목이 있으며, 사회적경제 파트에 사회적경제개론과 협동조합론이 있어 협동조합을 기본적으로 비즈니스(사업체)로 인식하여 경영학이 주된 베이스이다. 

협동조합을 비롯한 사회적경제 여러 영역에서 현장활동가들이 대다수인 대학원 MBA과정의 동기들과 함께 ‘협동조합 경영학’ 제반 교과과정을 수학하면서 일정 정도의 새로운 지식의 습득에 대한 성취감과 동시에 부족하다고 느끼는 아쉬움도 생겼다. 

 국제협동조합연맹(International Cooperative Alliance)이 협동조합의 가치를 실천하기 위해 선포한 협동조합 7원칙 중에는 ‘교육, 훈련 및 정보 제공’이 있다. 협동조합은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는 사업체를 민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자율적인 조직이지만, 협동조합의 사업과 규칙을 공감하고 함께 운영하는 ‘조합원’이 주체로 운영한다는 측면에서 개인과 팀, 조직의 역량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자원이라 하겠다. 이에 협동조합은 조합원들에게 다양한 교육훈련과 학습기회를 제공한다(김선화, 2022; 김선화, 장승권, 2019; 김아영 외, 2018; 김활신, 장승권, 2015). 

 사회적경제조직, 그중에서도 특히나 협동조합에서 사람, 인적자원의 중요성은 더할 나위 없이 소중하다. 하지만 이미 자원기반이론을 비롯한 주류경제학에서도 자본이나 기술이 아니라 인적자원에 기초한 기업의 핵심역량이 지속가능한 제반 경쟁력이 될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자원관리이론의 대표적인 학자인 Barney(1996)에 따르면,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은 ‘기업의 자원(firm resource)’이며, ‘기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방법에 대해 기업이 관리하는 자원인 물리적 자원(기술, 기계, 장비, 입지, 원료 접근성 등), 인적 자원(경영자와 근로자가 가진 훈련, 경험, 판단, 지능, 관계, 직관력 등의 수준 등), 조직 자원(보고체계, 계획/통제/조정 시스템, 대외적 관계 등)’ 등을 기반으로 창출된다고 말하고 있다(신형덕. 2010: 12p).

이에 반해, 사회적경제 조직은 그저 규범적인 당위로서 ‘사람’중심을 외칠 뿐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에서도 ‘사람’중심의 사회적경제 조직 구조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해 답할 수 있어야 한다.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는 Harbison, Myers(1964)가 처음으로 ‘인적자원 개발은 사회 모든 구성원의 지식, 기술, 능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이다’라고 정의를 내린 이후 기업과 공공조직을 비롯한 정치, 사회, 재계 등 곳곳에서 필요로 하는 실용적인 학문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다. 현대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는 어떤 상황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발전하며 성과를 만들어내는 역량이 필요하게 되었다(오종석, 김종관, 2012). 또한 자신의 주영역 뿐 아니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전방위적인 지식을 보유하며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이고 이를 문제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팀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다할 수 있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Evensen, Hmelo, 2000). 따라서, 작금의 정세의 HRD는 급변하는 과학, 사회, 문화적 환경과 기업이나 조직의 효과적이고 전략적인 경영을 위하여 변모해야 하며 조직의 전략 실행의 교육훈련(Training & Development)을 제공하는 역할에서 전략 상황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역할로 변모해야 할 것이다(Boudreau & Ziskin, 2011). 

 협동조합을 비롯한 사회적경제 조직의 종사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학습이 HRD관점에서 얼마나 전략적으로 중요한 것인지 살펴보고 HRD관점에서 바라본 협동조합에 걸맞는 학습의 방향성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왼쪽부터 사회를 맡으신 주가연 선생님, 결혼식 이틀전 참석한 예비신랑, 분주한 오프닝 준비..

참 고 문 헌

김선화(2022), 협동조합의 지역사회 참여 강화 : 아이쿱생협의 공정무역마을 코디네이터 액션러닝 사례, 인적자원개발연구, 25(1), 53-80.

김선화, 장승권(2019),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실천공동체 학습: 포토보이스를 이용한 두레생협의 필리핀 공정무역 생산지 해외연수 사례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22(2): 1-30.

김아영, 장지연,장승권(2018),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인적자원개발: 한국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조합원개발 현황과 아이쿱생협의 조합원 이사개발 사례, 인적자원개발연구, 21(3): 203-228.

김활신, 장승권(2015), 조직학습 관점에서 바라본 노동자소유기업의 조직변화: 우진교통 사례, 한국협동조합연구, 33(3):33-61.

성공회대 사회적경제대학원 홈페이지, "https://www.skhu.ac.kr/gsse/2832/subview.do", 24년 1월 21일 검색. 

신형덕(2016), 잘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를까, 스마트북스.

오종석, 김종관(2012), 인적자원관리, 서울, 탑북스.

Barney, J. (1996), The Resource-based Theory of the Firm, Organization Science, 7(5), 469.

Boudreau, J. W., & Ziskin, I. (2011), The future of HR and effective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Dynamics, 40, 255-266

Evensen, D. H., & Hmelo, C. E. (Eds). (2000), Problem-based learning: A research perspective on learning interactions, Hillsdale, NJ: Erlbaum.

Harbison, F. H., & Myers, C. A. (1964), Education, manpower, and economic growth: Strateg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Houle, C. D.(1961), The inquiring mind: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Toffler, H. (1991),  Powershift: The world's most dangerous brain drain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lligence and Counter Intelligence, 5(3), 329-331.